고객센터

Customer 이용이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
보안 업데이트

TITLE [MS 보안업데이트]2016년 4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DATE 2016-04-14 오전 11:53:00

(주)서브이즈 보안팀에서 알려드립니다.

2016년 4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가 13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. 보안 위협에 따른 긴급업데이트도 있으니 확인하시고 꼭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.

감사합니다.




□ 4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3종)

o 발표일 : 2016.4.13.(수)
o 등급 : 긴급(Critical) 7종, 중요(Important) 6종
o 업데이트 내용


이미지_0



[MS16-037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
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o 관련취약점 :
-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6-0154, 0159, 0164, 0166)
- DLL 로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– (CVE-2016-0160)
- Internet Explorer 정보 노출 취약점 – (CVE-2016-0162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37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37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38] Microsoft Edge 누적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이용자가 Microsoft Edge를 이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54~0157)
- Microsoft Edge 권한 상승 취약점(CVE-2016-0158,0161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38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38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39] Microsoft 그래픽 요소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폰트를 포함하는 문서나 웹 페이지를 열람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Win32k 권한 상승 취약점(CVE-2016-0143, 0165, 0167)
- 그래픽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45)

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39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39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[MS16-040] Microsoft XML 핵심 서비스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MSXML 3.0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0147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0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0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[MS16-041] .NET Framework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공격자가 로컬 시스템에 접근하여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.NET Framework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0148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1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1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2] Microsoft Office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실행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Office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22, 0127, 0136, 0139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2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2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4] Windows OLE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Windows 10을 제외한 모든 지원중인 Windows OLE에서 입력 값에 대한 검증이 미흡한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OL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0153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4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4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5] Windows Hyper-V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Hyper-V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이 존재

o 관련취약점 :
- Hyper-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– (CVE-2016-0088)
- Hyper-V 정보 노출 취약점 – (CVE-2016-0089~0090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5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5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6] 보조 로그온(Secondary Logon)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지원중인 Windows 10 모든 에디션에 대하여 공격자가 관리자 권한으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권한 상승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보조 로그온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6-0135)

o 영향 : 권한 상승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6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6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7] SAM, LSAD 원격 프로토콜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중간자 공격(MiTM)을 수행하는 경우, 권한 상승을 허용하는 취약점 존재
※ Badlock으로 명명 된 버그를 이용한 취약점
o 관련취약점 :
- Windows SAM, LSAD 권한 하락 취약점 – (CVE-2016-0128)

o 영향 : 권한 상승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7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7
※ Badlock 관련 참고사이트 : http://badlock.org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8] CSRSS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 로그온하여 특수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, 보안 기능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Windows CSRSS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 – (CVE-2016-0151)

o 영향 : 보안 기능 우회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8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8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49] HTTP.sys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현재 지원중인 모든 Windows 10 에디션에 대하여,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HTTP 패킷을 대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경우, 서비스 거부가 발생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HTTP.sys 서비스 거부 취약점 – (CVE-2016-0150)

o 영향 : 서비스 거부

o 중요도 : 중요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49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49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[MS16-050]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



□ 설명
o IE10, IE11, MS Edge에 포함된 Adobe Flash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

o 관련취약점 :
- Adobe 보안 공지 APSB16-10에 설명된 취약점(CVE-2016-1006, 1011~1019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0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0



□ 해결책
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참조 : 인터넷침해대응센터

365일 24시간

고객센터

영업시간 : 10:00~19:00 장애문의 : 24시간

서브이즈는 고객의 고민과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합니다.
노하우를 가진 오랜 경력의 전문가들이 365일 24시간 고객 문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02.6335.2040

영업 문의   : 070.8708.3672

디도스 문의   : 010 . 9569 . 2540 (김석현 차장)

메신저 문의   : 070.8708.3672     sns     ID : sukhyun98

계좌안내

국민은행 : 349437-04-006853 (주)서브이즈

우리은행 : 1005-402-413234 (주)서브이즈

신용카드 결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