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ustomer 이용이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TITLE | [MS 보안업데이트]2018년 8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|
---|---|
DATE | 2018-08-30 오전 11:52:00 |
(주)서브이즈 보안팀에서 알려드립니다. 2018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가 15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. 확인하시고 꼭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 □ 8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(총 15종) o 등급 : 긴급(Critical) 11 종, 중요(Important) 4 종 o 발표일 : 2018.8.15.(수) o 업데이트 내용 ![]() o 참고사이트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1. Windows 10, Server 2016, Edg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66,CVE-2018-8273,CVE-2018-8344,CVE-2018-8345,CVE-2018-8349,CVE-2018-8350,CVE-2018-8355,CVE-2018-8372,CVE-2018-8377,CVE-2018-8380,CVE-2018-8381,CVE-2018-8385,CVE-2018-8387,CVE-2018-8390,CVE-2018-8403,CVE-2018-8414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52,CVE-2018-8253,CVE-2018-8339,CVE-2018-8343,CVE-2018-8347,CVE-2018-8357,CVE-2018-8399,CVE-2018-8400,CVE-2018-8401,CVE-2018-8404,CVE-2018-8405,CVE-2018-8406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200,CVE-2018-8204,CVE-2018-8340,CVE-2018-8358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41,CVE-2018-8348,CVE-2018-8351,CVE-2018-8370,CVE-2018-8394,CVE-2018-8398) - DID 취약점(CVE-2018-8383,CVE-2018-838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885, 4343897, 4343909, 4343892, 4343887, 4293808, 4293801, 4293802, 4293807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.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44,CVE-2018-8345,CVE-2018-8349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339,CVE-2018-8343,CVE-2018-8404,CVE-2018-8405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340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41,CVE-2018-8348,CVE-2018-8394,CVE-2018-839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898, 4343888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3.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44,CVE-2018-8345,CVE-2018-8349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339,CVE-2018-8343,CVE-2018-8404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41,CVE-2018-8348,CVE-2018-8394,CVE-2018-839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901, 4343896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4.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44,CVE-2018-8345,CVE-2018-8349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339,CVE-2018-8343,CVE-2018-8405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41,CVE-2018-8348,CVE-2018-8394,CVE-2018-839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898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5.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44,CVE-2018-8345,CVE-2018-8346,CVE-2018-8349,CVE-2018-8397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339,CVE-2018-8342,CVE-2018-8343,CVE-2018-8404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41,CVE-2018-8348,CVE-2018-8394,CVE-2018-8396,CVE-2018-839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900, 434389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6.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44,CVE-2018-8345,CVE-2018-8346,CVE-2018-8349,CVE-2018-8397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33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48,CVE-2018-8394,CVE-2018-8396,CVE-2018-839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1832, 4340937, 4344104, 4340939, 4338380, 4343674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7.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16,CVE-2018-8353,CVE-2018-8355,CVE-2018-8371,CVE-2018-8372,CVE-2018-8373,CVE-2018-8385,CVE-2018-8389,CVE-2018-8403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357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51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900, 4343205, 4343898, 4343205, 4343887, 4343892, 4343885, 4343897, 4343909, 4343901, 4343205, 4343900, 434389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8.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66,CVE-2018-8355,CVE-2018-8359,CVE-2018-8372,CVE-2018-8380,CVE-2018-8381,CVE-2018-8384,CVE-2018-8385,CVE-2018-839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9. Offic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75,CVE-2018-8376,CVE-2018-8379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412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78,CVE-2018-8382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32235, 4032222, 4032240, 4032212, 4032223, 4032229, 4032213, 4032241, 4018310, 4032215, 4022195, 4032220, 4032239, 4032233, 3213636, 4022198, 4092433, 4092434, 4022238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0. Visual Studio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 버그(실행 처리 구문의 허점 등)을 악용하여 보호되는 자원들에 임의로 접근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52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1. 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의 미흡한 설계(적절한 검증 부재)를 악용하여 제한된 자원에 접근가능한 정보노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78) o 영향 : 정보노출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022236, 4032256, 4022234, 4018392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2. SQL Serv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73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293803, 4293805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3.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302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8-8374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0731, 4340733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4. .NET Cor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프로그램의 미흡한 설계(적절한 검증 부재)를 악용하여 제한된 자원에 접근가능한 정보노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360) o 영향 : 정보노출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344152, 4344177, 4344153, 4344178, 4344150, 4344175, 4343887, 4343892, 4343885, 4343897, 4343909, 4344149, 4344173, 4344147, 4344171, 4344148, 4344172, 4344151, 4344176, 4344146, 4344167, 4344145, 4344166, 4344144, 4344165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15.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: 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8-25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343902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참조 : 인터넷침해대응센터 |
365일 24시간
고객센터
영업시간 : 10:00~19:00 장애문의 : 24시간
영업 문의 : 070.8708.3672
디도스 문의 : 010 . 9569 . 2540 (김석현 차장)
메신저 문의 : 070.8708.3672 ID : sukhyun98
계좌안내
국민은행 : 349437-04-006853 (주)서브이즈
우리은행 : 1005-402-413234 (주)서브이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