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객센터

Customer 이용이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
보안 업데이트

TITLE [MS 보안업데이트]2018년 11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DATE 2018-11-15 오후 12:24:00
(주)서브이즈 보안팀에서 알려드립니다.

2018년 11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가 14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. 확인하시고 꼭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.

감사합니다.


□ 11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7종)
o 등급 : 긴급(Critical) 10종, 중요(Important) 7종
o 발표일 : 2018.11.14.(수)
o 업데이트 내용

이미지_0

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
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


1. Windows 10 32비트 및 64비트(v1809, v1803, v1709, v1703, v1607)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, CVE-2018-8450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471, CVE-2018-8550, CVE-2018-8554, CVE-2018-8561, CVE-2018-8562, CVE-2018-8584, CVE-2018-8592, CVE-2018-8485)
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417, CVE-2018-8549, CVE-2018-8566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454, CVE-2018-8565)
- 악용 및 변조(CVE-2018-8415)
- 스푸핑(CVE-2018-8547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465659, 4093430, 4465660, 4465661, 4465663, 4465664, 4467691, 4467680, 4467696, 4467686, 4467702, 4467708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2. Edg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543, CVE-2018-8551, CVE-2018-8555, CVE-2018-8556, CVE-2018-8557, CVE-2018-8588, CVE-2018-8541, CVE-2018-8542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567)
- 스푸핑(CVE-2018-8564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545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467708, 4467686, 4467702, 4467696, 4467691, 4467680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3. Windows Server 2019, 2016, Server Core(2019, 2016, v1803, v1709)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, CVE-2018-8450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, CVE-2018-8476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471, CVE-2018-8550, CVE-2018-8554, CVE-2018-8561, CVE-2018-8562, CVE-2018-8584, CVE-2018-8592, CVE-2018-8485)
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417, CVE-2018-8549, CVE-2018-8566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454, CVE-2018-8565)
- 악용 및 변조 취약점(CVE-2018-8415)
- 스푸핑(CVE-2018-8547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465659, 4465661, 4465663, 4465664, 4467691, 4467686, 4467702, 4467708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4. Windows 8.1 및 Windows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, CVE-2018-8450, CVE-2018-8476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471, CVE-2018-8550, CVE-2018-8561, CVE-2018-8562, CVE-2018-8485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563, CVE-2018-8565)
- 보안기능우회 취약점(CVE-2018-8549)
- 악용 및 변조 취약점(CVE-2018-8415)
- 스푸핑 취약점(CVE-2018-8547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3173424, 4467697, 4467703
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5.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, CVE-2018-8450, CVE-2018-8476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550, CVE-2018-8561, CVE-2018-8562, CVE-2018-8485)
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549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563, CVE-2018-8565)
- 악용 및 변조 취약점(CVE-2018-8415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3173426, 4467701, 4467678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6.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, CVE-2018-8450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550, CVE-2018-8561, CVE-2018-8562, CVE-2018-8485)
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8-8549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563, CVE-2018-8565)
- 악용 및 변조 취약점(CVE-2018-8415)
- 스푸핑 취약점(CVE-2018-8547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467697, 4467703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7. Windows 7 및 Windows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, CVE-2018-8450, CVE-2018-8476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471, CVE-2018-8550, CVE-2018-8562, CVE-2018-8589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563, CVE-2018-8565)
- 악용 및 변조 취약점(CVE-2018-8415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3177467, 4467107, 4467106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8.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450, CVE-2018-8476, CVE-2018-8544, CVE-2018-855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550, CVE-2018-8562, CVE-2018-8589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407, CVE-2018-8408, CVE-2018-8563, CVE-2018-8565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467706, 4467700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9.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-2018-8570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552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o 관련 KB번호
- 4467107, 4466536, 4467697, 4467691, 4467680, 4467696, 4467686, 4467702, 4467708, 4467701, 4467706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0. Microsoft Office 관련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573, CVE-2018-8574, CVE-2018-8575, CVE-2018-8576, CVE-2018-8577, CVE-2018-8582, CVE-2018-8522, CVE-2018- 8524, CVE-2018-8539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558, CVE-2018-8579)
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8546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o 관련 KB번호
- 4461487, 4461524, 4461504, 4461485, 4461526, 4461503, 4461506, 4461529, 4461486, 4011190, 4461518, 4461530, 4461519, , 461488, 4092473, 4022237, 4022232, 4032218, 4461527, 3114565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1. Microsoft SharePoint 관련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575, CVE-2018-8539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568, CVE-2018-8572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8578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o 관련 KB번호
- 4461501, 4461483, 4461513, 4461511, 4022147, 4461478, 4461489, 4461520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2.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권한상승이 발생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8581)

o 영향 : 권한상승

o 중요도 : 중요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3. PowerShell Cor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256)
- 악용 및 변조 취약점(CVE-2018-8415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4. Team Foundation Serv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529)
- 스푸핑 취약점(CVE-2018-8602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5. Microsoft Dynamics 365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609)
- 스푸핑 취약점(CVE-2018-8605, CVE-2018-8606, CVE-2018-8607, CVE-2018-8608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467675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6.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8543, CVE-2018-8551, CVE-2018-8555, CVE-2018-8556, CVE-2018-8557, CVE-2018-8588, CVE-2018-8541, CVE-2018-8542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
17.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

o 관련취약점 :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o 관련 KB번호
- 4467694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참조 : 인터넷침해대응센터

365일 24시간

고객센터

영업시간 : 10:00~19:00 장애문의 : 24시간

서브이즈는 고객의 고민과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합니다.
노하우를 가진 오랜 경력의 전문가들이 365일 24시간 고객 문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02.6335.2040

영업 문의   : 070.8708.3672

디도스 문의   : 010 . 9569 . 2540 (김석현 차장)

메신저 문의   : 070.8708.3672     sns     ID : sukhyun98

계좌안내

국민은행 : 349437-04-006853 (주)서브이즈

우리은행 : 1005-402-413234 (주)서브이즈

신용카드 결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