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ustomer 이용이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TITLE | [MS 보안업데이트]2013년 5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|
---|---|
DATE | 2013-05-24 오후 2:48:00 |
(주)서브이즈 보안팀에서 알려드립니다. 2013년 2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가 9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. 확인하시고 꼭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 [MS13-037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업데이트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이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JSON Array Information Disclosure Vulnerability (CVE-2013-1297) - Multiple Use After Free Vulnerabilitiesb (CVE-2013-0811, CVE-2013-1297, CVE-2013-1306, CVE-2013-1307, CVE-2013-1308,CVE-2013-1309,CVE-2013-1310,CVE-2013-1311,CVE-2013-1312,CVE-2013-1313,CVE-2013-2551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구성요소 IE6 IE7 IE8 IE9 IE10 Windows XP 서비스 팩 3 ○ ○ ○ Windows XP x64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3 x64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3 Itanium 서비스 팩 2 ○ ○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Vista x64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8 x64 서비스 팩 2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 2 ○ Windows 7 ○ ○ Windows 7 서비스 팩 1 ○ ○ ○ Windows 7 x64 ○ ○ Windows 7 x64 서비스 팩 1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8 R2 x64 ○ ○ Windows Server 2008 R2 x64 서비스 팩 1 ○ ○ ○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 1 ○ Windows 8 ○ Windows 8 x64 ○ Windows Server 2012 ○ Windows RT ○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37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37 [MS13-038] Internet Explor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이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Use After Free Vulnerability (CVE-2013-1347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구성요소 IE8 IE9 Windows XP 서비스 팩 3 ○ Windows XP x64 서비스 팩 2 ○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 2 ○ Windows Server 2003 x64 서비스 팩 2 ○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○ ○ Windows Vista x64 서비스 팩 2 ○ ○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 2 ○ ○ Windows Server 2008 x64 서비스 팩 2 ○ ○ Windows 7 ○ ○ Windows 7 서비스 팩 1 ○ ○ Windows 7 x64 ○ ○ Windows 7 x64 서비스 팩 1 ○ ○ Windows Server 2008 R2 x64 서비스 팩 1 ○ ○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 1 ○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38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38 [MS12-039] HTTP.sys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거부 유발 □ 설명 o 공격자가 취약점이 존재하는 윈도우 서버나 클라이언트에 특수하게 조작된 HTTP 패킷을 전송할 경우,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HTTP.sys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3-1305) o 영향 : 서비스 거부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8 - Windows 8 64-bit - Windows Server 2012 - Windows RT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39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39 [MS13-040] .NET Framework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스푸핑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스푸핑 공격 가능 □ 설명 o .NET 응용프로그램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XML 파일을 수신할 경우, 스푸핑을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XML 디지털 서명 스푸핑 취약점(CVE-2013-1336) - 인증 우회 취약점(CVE-2013-1337) o 영향 : 스푸핑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서비스 팩3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Itanium Windows Server 2008 Itanium 서비스 팩2 Microsoft .NET Framework 2.0 서비스 팩2 Microsoft .NET Framework 4 Windows Vista 서비스 팩 2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Microsoft .NET Framework 2.0 서비스 팩2 Microsoft .NET Framework 4 Microsoft .NET Framework 4.5 Windows 7 Windows 7 64-bit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0, 1 Microsoft .NET Framework 3.5.1 Microsoft .NET Framework 4 Windows 7 서비스 팩 1 Windows 7 서비스 팩 1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 1 Microsoft .NET Framework 3.5.1 Microsoft .NET Framework 4 Microsoft .NET Framework 4.5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 1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1 Microsoft .NET Framework 3.5.1 Microsoft .NET Framework 4 Microsoft .NET Framework 4.5 Windows 8 Windows 8 64-bit Windows Sever 2012 Microsoft .NET Framework 3.5 Microsoft .NET Framework 4.5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0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0 [MS13-041] Lync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공격자가 공유한 특수하게 조작된 콘텐츠(파일 또는 프로그램)를 사용자가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Lync RCE 취약점(CVE-2013-1302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Communicator 2007 R2 - Microsoft Lync 2010(32비트) - Microsoft Lync 2010(64비트) - Microsoft Lync 2010 Attendee - Microsoft Lync Server 2013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1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1 [MS13-042] Publish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한 Publisher 파일을 사용자가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Multiple Microsoft Publisher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ies (CVE-2013-1316, CVE-2013-1317, CVE-2013-1318, CVE-2013-1319, CVE-2013-1320, CVE-2013-1321, CVE-2013-1322, CVE-2013-1323, CVE-2013-1327, CVE-2013-1328, CVE-2013-1329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Office 2003 서비스 팩 3 - Microsoft Office 2007 서비스 팩 3 - Microsoft Office 2010 서비스 팩 1 (32-64 Bit)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2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2 [MS13-043] Word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한 파일 및 이메일 메시지를 사용자가 열람 또는 미리 볼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Word Shape Corruption Vulnerability (CVE-2013-1335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Office 2003 서비스 팩 3 - Microsoft Word Viewer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3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3 [MS13-044] Visio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유출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유출 가능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한 Visio파일을 사용자가 열람할 경우, 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XML 외부 엔터티 확인 취약점(CVE-2013-1301) o 영향 : 정보유출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Visio 2013 - Microsoft Office 2007 Filter Pack 서비스 팩 3 - Microsoft Office 2010 Filter Pack 서비스 팩 1(32비트 버전) - Microsoft Office 2010 Filter Pack 서비스 팩 1(64비트 버전) - Microsoft Visio Viewer 2010 서비스 팩 1(32비트 에디션) - Microsoft Visio Viewer 2010 서비스 팩 1(64비트 에디션) - Microsoft Visio Viewer 2013(32비트 에디션) - Microsoft Visio Viewer 2013(64비트 에디션)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4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4 [MS13-045] Essentials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유출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유출 가능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한 URL을 사용하여 Windows Writer를 열람할 경우, 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Windows Essentials 잘못된 URI 처리 취약점(CVE-2013-0096) o 영향 : 정보유출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Essentials 2011 - Windows Essentials 2012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5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5 [MS13-046] 커널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권한상승 □ 설명 o 공격자가 시스템에 로그온한 상태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권한이 상승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: - DirectX 그래픽 커널 하위 시스템 이중 페치 취약점(CVE-2013-1332) - Win32k 버퍼 오버플로 취약점(CVE-2013-1333) - Win32k 윈도우 처리 취약점(CVE-2013-1334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Windows XP 서비스 팩3 - Windows XP Professional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3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서비스 팩2 - Windows Vista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it 서비스 팩2 - Windows Server 2008 64-b Itanium 서비스 팩2 - Windows 7 서비스 팩1 - Windows 7 64-bit 서비스 팩1 - Windows Server 2008 R2 64-bit 서비스 팩1 - Windows Server 2008 R2 Itanium 서비스 팩1 - Windows 8 - Windows 8 64-bit - Windows Server 2012 - Windows RT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security/bulletin/MS13-046 o 한글 : http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security/bulletin/MS13-046 참조 : 인터넷침해대응센터 |
365일 24시간
고객센터
영업시간 : 10:00~19:00 장애문의 : 24시간
영업 문의 : 070.8708.3672
디도스 문의 : 010 . 9569 . 2540 (김석현 차장)
메신저 문의 : 070.8708.3672 ID : sukhyun98
계좌안내
국민은행 : 349437-04-006853 (주)서브이즈
우리은행 : 1005-402-413234 (주)서브이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