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ustomer 이용이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TITLE | [MS 보안업데이트]2015년 6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|
---|---|
DATE | 2015-06-15 오후 12:29:00 |
(주)서브이즈 보안팀에서 알려드립니다. 2015년 6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가 11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. 긴급업데이트도 있으니 확인하시고 꼭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 □ 6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8종) o 발표일 : 2015. 06. 10 (수) o 등급 : 긴급(Critical) 2종, 중요(Important) 6종 o 업데이트 내용 패치번호 KB번호 중요도 발생 위치 영향 MS15-056 KB3058515 긴급 Internet Explorer 원격코드실행 MS15-057 KB3033890 긴급 Windows Media Player 원격코드실행 MS15-059 KB3064949 중요 Microsoft Office 원격코드실행 MS15-060 KB3059317 중요 Common Control 원격코드실행 MS15-061 KB3057839 중요 Kernel mode driver 권한상승 MS15-062 KB3062577 중요 Active Directory Federation Services 권한상승 MS15-063 KB3063858 중요 Windows Kernel 권한상승 MS15-064 KB3062157 중요 Exchange Server 권한상승 □ 특이사항 o 6월 보안 업데이트 8종 중 긴급은 2종임 [MS15-056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에 접속할 경우 원격 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•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5-1687, CVE-2015-1730~1732, CVE-2015-1735~1737, CVE-2015-1740~1742, CVE-2015-1744~1745, CVE-2015-1747, CVE-2015-1750~1755, CVE-2015-1766) •Internet Explorer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5-1739, CVE-2015-1743, CVE-2015-1748) •Internet Explorer 정보 유출 취약점 – (CVE-2015-1765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56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56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57] Windows Media Player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•DataObject를 통한 Windows Media Player RCE 취약점 - (CVE-2015-1728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57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57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59] Microsoft Office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Office 파일을 열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•Microsoft Office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 사용 취약점 - (CVE-2015-1770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59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59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60] Microsoft Common Controls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콘텐츠의 링크를 클릭한 다음 Internet Explorer에서 F12 개발자 도구를 호출하는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•Microsoft Common Controls Use-After-Free 취약점 – (CVE-2015-1756)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60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60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61]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권한 상승 □ 설명 o 공격자가 해당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특수하게 제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커널 모드로 실행할 경우, 권한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•Microsoft Windows 커널 정보 유출 취약점 - (CVE-2015-1719) •Microsoft Windows 커널 Use-After-Free 취약점 - (CVE-2015-1720) o 영향 : 권한 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61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6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62] Active Directory Federation Services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권한 상승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URL을 대상 사이트로 전송하는 경우, 권한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•Active Directory Federation Services XSS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5-1757) o 영향 : 권한 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62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62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63] Windows 커널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권한 상승 □ 설명 o 공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 공유 디렉토리에 특수하게 제작된 .dll파일을 저장하는 경우, 권한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•Windows LoadLibrary EoP 취약점 – (CVE-2015-1758) o 영향 : 권한 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63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63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[MS15-064]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권한 상승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, 권한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•Exchange 서버 요청 위조 취약점 – (CVE-2015-1764) •Exchange CSRF 취약점 – (CVE-2015-1771) o 영향 : 권한 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참조사이트 참고 •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5-064 •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5-064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참조 : 인터넷침해대응센터 |
365일 24시간
고객센터
영업시간 : 10:00~19:00 장애문의 : 24시간
영업 문의 : 070.8708.3672
디도스 문의 : 010 . 9569 . 2540 (김석현 차장)
메신저 문의 : 070.8708.3672 ID : sukhyun98
계좌안내
국민은행 : 349437-04-006853 (주)서브이즈
우리은행 : 1005-402-413234 (주)서브이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