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객센터

Customer 이용이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
보안 업데이트

TITLE [MS 보안업데이트]2016년 5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DATE 2016-07-07 오후 4:35:00

(주)서브이즈 보안팀에서 알려드립니다.

2016년 5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가 11일자로 발표되었습니다. 보안 위협에 따른 긴급업데이트도 있으니 확인하시고 꼭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.

감사합니다.




□ 5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6종)

o 발표일 : 2016.5.11.(수)
o 등급 : 긴급(Critical) 8종, 중요(Important) 8종
o 업데이트 내용

이미지_0


[MS16-051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6-0187, 0189, 0192)
-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 – (CVE-2016-0188)
- 정보 유출 취약점 – (CVE-2016-0194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1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1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2] Microsoft Edge 누적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Microsoft Edge를 이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86, 0191~0193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2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2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3] JScript 및 VBScript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사이트를 방문한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87, 0189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3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3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4] Microsoft Offic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Office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26, 0140, 0198)
- Office 그래픽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0183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4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4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5] Microsoft 그래픽 구성 요소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, 악성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그래픽 구성 요소 정보 유출 취약점(CVE-2016-0168, 0169)
- 그래픽 구성 요소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0170)
- Direct3D 해제 후 사용 취약점(CVE-2016-0184)
-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95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5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5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6] Windows 필기장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필기장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Windows 필기장 메모리 손상 취약점(CVE-2016-0182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6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6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7] Windows Shell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공격자가 유도한대로 특수 제작된 악성 웹 사이트로 이동하거나, 특수 제작된 악성 콘텐츠를 열람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Windows Shel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0179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7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7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8] Windows IIS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로컬 시스템 액세스 권한을 가진 공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DLL 로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– (CVE-2016-0152)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8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8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59] Windows Media Cent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악성 코드를 참조하는 특수 제작된 Media Center 링크(.mcl)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Windows Media Cent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– (CVE-2016-0185)

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59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59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0] Windows 커널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 로그온 후, 특수 제작한 악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권한 상승이 허용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Windows 커널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6-0180)

o 영향 : 권한 상승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0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0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1] Microsoft RPC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대상 호스트에 잘못된 형식의 원격프로시저 호출(RPC) 요청을 만드는 경우, 권한 상승을 허용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RPC 네트워크 데이터 표시 엔진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6-0178)

o 영향 : 권한 상승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1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1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2]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 로그온하여 특수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, 권한 상승이 허용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Win32k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6-0171, 0173, 0174, 0196)
- Win32k 정보 유출 취약점 – (CVE-2016-0175)
- Microsoft DirectX Graphics 커널서브시스템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6-0176, 0197)

o 영향 : 권한 상승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2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2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4]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IE10, IE11, MS Edge에 포함된 영향 받는 Adobe Flash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

o 관련취약점 :
- CVE-2016-1096~1110, 4108~4116

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4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4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5] .NET Framework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보안 채널에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삽입 후, 지정된 클라이언트와 합법적 서버 간에 MiTM 공격(중간자 공격)을 수행하는 경우 정보 유출이 발생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TLS/SSL 정보 유출 취약점 – (CVE-2016-0149)

o 영향 : 정보 유출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5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5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6] 가상 보안 모드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Windows에서 코드 무결성 보호를 우회하는 경우 보안 기능이 우회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하이퍼바이저 코드 무결성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 – (CVE-2016-0181)

o 영향 : 보안 기능 우회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6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6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[MS16-067] 볼륨 관리자 드라이버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Microsoft RemoteFX를 통해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(RDP)로 탑재된 USB 디스크가 탑재 사용자의 세션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, 정보 유출이 발생하는 취약점

o 관련취약점 :
- RDP 드라이브 리디렉션 정보 유출 취약점 – (CVE-2016-0190)

o 영향 : 정보 유출

o 중요도 : 중요

□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o 참고사이트
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67
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67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참조 : 인터넷침해대응센터

365일 24시간

고객센터

영업시간 : 10:00~19:00 장애문의 : 24시간

서브이즈는 고객의 고민과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합니다.
노하우를 가진 오랜 경력의 전문가들이 365일 24시간 고객 문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02.6335.2040

영업 문의   : 070.8708.3672

디도스 문의   : 010 . 9569 . 2540 (김석현 차장)

메신저 문의   : 070.8708.3672     sns     ID : sukhyun98

계좌안내

국민은행 : 349437-04-006853 (주)서브이즈

우리은행 : 1005-402-413234 (주)서브이즈

신용카드 결제